

고혈압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신체검사나 진찰 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소리 없는 죽음의 악마’라고 할 정도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부정맥
- 피부긴장도 저하
- 두통
- 가슴두근거림
- 어지러움
내과만성질환센터 주요진료
질환을 짚어내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진료를 시행합니다
고혈압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신체검사나 진찰 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소리 없는 죽음의 악마’라고 할 정도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부정맥
고혈압 진단 기준
정상 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 |
---|---|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80~89mmHg |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40~15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 |
2기 고혈압(중증도 이상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100mmHg 이상 |
* 대한고혈압학회와 미국심장학회의 혈압의 기준입니다
고혈압 원인
90% 이상의 고혈압은 본태성으로 원인을 알 수 없습니다. 나머지 5~10% 정도는 신장 이상이나 혈관 이상, 당뇨병, 드물게 부신 종양 등으로
혈압이 높아집니다. 이 경우 원인 질환을 찾아 치료하면 고혈압이 해결될 수 있으며 이를 2차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태성 고혈압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되지 않고 여러가지 요인이 모여 고혈압을 일으킵니다.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60세 이후
노년층
식사성
요인
약물 요인
단계별 치료
2단계 고혈압
생활습관 교정 및 약물치료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 지속관리
1단계 고혈압
생활습관 교정 및 약물치료
고혈압 전단계
생활습관 교정
금연, 절주, 정기적인 혈압측정, 스트레스 관리, 적정체중유지, 식습관 개선 등 진행
정상
정기 혈압 체크
당뇨
당뇨는 신진대사 장애로 인하여 혈덩수치가 높아지고, 소변을 통해 포도당이 배설되는 상태로, 인슐린 생산, 분비 혹은 이용에 있어 이상증상이 발생합니다. 오랜기간 방치하게 되면 당뇨병성 합병증(장기손상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망막병증
#신기능장애
#신경병증
#관상동맥질환
당뇨 진단 기준
* 단위 : mmHg
분류 | 공복혈당 | 식후 2시간 혈당 |
---|---|---|
정상 | 100 미만 | 100 미만 |
공복혈당장애 | 100 - 125 | 140 - 199 |
내당능장애 | ||
당뇨 | 126 이상 | 200 이상 |
당뇨 원인
유전적 요인 | 가족력과 연관이 깊으며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부모가 모두 당뇨병인 경우 자식에서 58%, |
---|---|
환경적 요인 |
|
면역적 요인 | 자가 면역 질환에 걸리면 당뇨가 생길 수 있으며 주로 |
치료 방법
당뇨병 치료의 목적은 혈당을 정상치에 가깝게 유지하여 고혈당으로 인한
혈관 손상을 방지하고 당뇨병을 가지고도 건강하게 살도록 하는 것입니다.
식이요법
규칙적으로 여러 가지 음식을 골고루 정량 식사합니다.
당분이 높은 단순당(사탕, 젤리, 꿀 등) 음식과 지방 음식
(버터, 치즈, 베이컨 등)을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음식은 저염식으로 먹습니다. 염분은 체내 혈압을 높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운동요법
규칙적인 운동은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고
질환 예방 효과도 있습니다.
운동 시에는 발이 편하고 잘 맞는 운동화를 신어야 합니다.
당뇨병에 걸리면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발궤양이 생길
우려가 많고 발에 상처가 나면 잘 낫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약물요법
경구 혈당강하제와 인슐린 주사가 있는데, 당뇨병의 종류,
환자의 상태,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처방해 드립니다.
고지혈증
고지혈증은 혈중에 지질 성분이 증가한 상태입니다. 고지혈증이 계속 되면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힐 수 있고 이로 인해 협심증, 심근경색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증상이 없고 혈액검사로 알 수 있습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췌장염
증상은 없습니다!
오직 혈액검사로만 알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이 계속 되면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힐 수 있고 이로인해 협심증, 심근경색 등이 발행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고지혈증 진단 기준
* 대한고지혈증병학회 기준
총콜레스테롤 (mg/dL) | 높음 ≥ 240 | 경계치 200 - 239 |
정상 < 200 | - |
---|---|---|---|---|
LDL콜레스테롤 (mg/dL) | 높음 ≥ 160 | 경계치 130 - 159 |
정상 100 - 129 |
적정 < 100 |
HDL콜레스테롤 (mg/dL) | 높음 ≥ 60 | 낮음 < 40 | - | - |
중성지방 (mg/dL) | 높음 ≥ 200 | 경계치 150 - 199 |
정상 < 150 | - |
보통 총 콜레스테롤이 230mg/dL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이면 고지혈증이라 판단합니다
고지혈증 원인
선천적인 원인
가족성 고지혈증
후천적인 원인
잘못된 식습관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
생활습관 문제
복용하는 약물
치료 방법
식사와 운동과 함께 생활습관의 개선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특히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이 위험인자인
술, 담배,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이요법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이를 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하고
체중 감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총 열량 섭취도 감소시킵니다.
섭취하는 지방량을 총 섭취 칼로리의 2-35%로 제한하고
물성 지방 전체 칼로리의 10%이내, 콜레스테롤은 하루에
300mg이하로 섭취하도록 합니다.
운동요법
체중조절, 금연, 음주 조절, 운동요법을 병행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중성지방과 L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킵니다.
약물요법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등 생활개선을 수개월 충분히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높을 경우 약물 요법을 시행해야 하고,
수치가 아주 높거나 심장질환, 당뇨 등이 이미 있는 고위험군은
생활 개선과 함께 약물요법을 시작해야 합니다.
경동맥 초음파
삼성초음파 HS50목 안 쪽에 위치한 뇌로 가는 큰 동맥인 경동맥을 관찰합니다.
혈액의 흐름과 협착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동맥경화를 진단하는 검사로 활용합니다.
경동맥 협착 · 경화반 · 경동맥 혈류 속도와 파형 측정 · 혈관벽의 내중막두께
더 알아보기진료문의
051-526-7788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연로 74, 무여빌딩 3층
오전 08:30 - 오후 06:00
토요일오전 08:30 - 오후 12:30
점심시간오후 12:30 - 오후 02:00